파생상품 중 하나인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
앞에서 해외선물과 주가지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1편에서 선물개념을 알아보면서 파생상품이 무엇인지도 설명했습니다. 선물이 파생상품 중 하나라고 했었죠? 오늘 알아볼 이 ‘옵션’이라는 것도 파생상품 중 하나에 포함됩니다.
옵션 : ‘Option’ 선택. 말 그대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. 두 가지 권리가 있습니다.
- 콜옵션 : 콜옵션은 살 권리.
- 풋옵션: 풋옵션은 팔 권리.
- 권리포기가능.
다시 선물거래를 잠깐 살펴보겠습니다. 선물거래의 경우 미래 가격을 놓고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정해져있었죠? 다만 미래에 약속한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공식적인 ‘거래소’가 존재하고 이 곳에서 선물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.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반드시 계약대로 이행해야 하는 겁니다.
한편, 옵션은 기초자산(앞에서 예시를 들었던 배추 등)을 계약 당사자가 미리 정한 가격으로 미래 시점에 사고 팔 수 있는 권리입니다. 즉 의무가 아닌 선택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바뀌는 거에요.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 여러분이 삼성전자 주식 1주를 1년 뒤 만원에 팔 수 있는 풋옵션을 가지고 있었다고 해볼게요. 1년 후 이 주식이 오천원으로 떨어졌다면, 여러분은 풋옵션 덕분에 오천원이 아니라 만원에 팔아서 오천원의 이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. 만약 주식이 2만원으로 올랐다면 어떻게 될까요? 2만원이 되었지만 만원에 팔기로해서 만원에 팔아버리면 만원을 손해보게 되죠? 이 때 만원에 팔기로한 이 풋옵션 권리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. 그렇게 되면 손해를 볼 일이 없습니다.
정리하면 선물 거래의 경우 반드시 계약대로 해야하는 의무. 옵션의 경우 권리를 포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X. 로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.
콜옵션과 풋옵션
구체적으로 콜옵션과 풋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옵션을 4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콜옵션 매수와 콜옵션 매도, 풋옵션 매수와 풋옵션 매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.
- 콜옵션 매수 : 옵션 만기일(정해진 날짜)에 특정 가격이 되면 기초상품을 살 수 있는 권리를 구매하는 것.
- 콜옵션 매도 : 옵션 만기일(정해진 날짜)에 특정 가격이 되면 기초상품을 살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하는 것.
- 풋옵션 매수 : 옵션 만기일(정해진 날짜)에 특정 가격이 되면 기초상품을 팔 수 있는 권리를 구매하는 것.
- 풋옵션 매도 : 옵션 만기일(정해진 날짜)에 특정 가격이 되면 기초상품을 팔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하는 것.
옵션거래 분류 기준
권리행사시기
- 유럽식 : 옵션의 권리 행사 기간을 옵션의 만기일로 제한.
- 미국식 : 만기일까지 아무때나 권리 행사가 가능한 옵션.
금융옵션
- 주식옵션 : 개별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한 주식옵션. 다른 종류의 옵션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.
- 주가지수 옵션 : 시장전체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주가지수, 특정 부분을 대표하는 지수 등 다양한 주가지수를 옵션거래 할 수 있음.
- 통화옵션 : 외국 통화 또는 환율을 옵션 대상으로 함. 통화옵션의 경우 정규거래소가 아닌 장외, 은행 등의 금융기관과 고객 간 거래가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음.
- 금리옵션: 금리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옵션계약. 채권, 국공채 등이 포함된다.
거래장소
- 장내 or 거래소 옵션 : 정규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옵션거래. 표준화가 되어 있으며 균일한 기초자산과 제한된 수의 행사가격, 만료일, 계약 불이행 등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.
- 장외옵션 : 은행, 증권사 등 전문 딜러가 발행하며 거래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.